무오 축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오 축구단은 1918년 창단된 일제강점기 평양을 연고로 한 축구팀이다. 유정필이 구단주 겸 선수로 창단을 주도했으며, 대성학교, 숭실중학, 숭실전문 출신 선수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전조선축구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 6회 우승을 차지하며 1920년대 조선 축구의 강호로 군림했다. 1920년대 서울의 불교청년회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으며, 1933년 평양 축구단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3년 해체된 축구단 - 보인학교 축구단
보인학교 축구단은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소학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한 학교 축구팀이다. - 1933년 해체된 축구단 - 전광성 축구단
전광성 축구단은 1924년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청년부에 참가한 선수단이다. - 1918년 설립된 축구단 - 보타포구 FC (상파울루주)
보타포구 FC (상파울루주)는 1918년에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주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D에서 2015년에 우승했으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A2에서 1956년과 2000년에 우승했다. - 1918년 설립된 축구단 - CD 페이렌스
CD 페이렌스는 1918년 창설된 포르투갈 축구 클럽으로, 세 차례 프리메이라리가에 참가했으나 모두 강등되었고, 1990-91 시즌에는 타사 드 포르투갈 준결승에 진출한 이력이 있으며 에스타디우 마르콜리누 드 카스트루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33년 폐지 - 독일 민주당
독일 민주당은 1918년 자유주의 지식인들이 창당하여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에 기여했으나, 지지율 하락으로 1930년 독일 국가당으로 개편된 정당이다. - 1933년 폐지 - 독일 국가인민당
독일 국가인민당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한 보수주의 정당으로, 제정 시대 보수 정당들의 통합으로 창당되어 부유층의 이익을 대변하고 제정 복고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나치당과의 협력을 모색하다 히틀러 내각 참여 후 해산되었다.
무오 축구단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무오 축구단 |
전체 명칭 | 무오 축구단 |
국가 | 일제강점기 조선 |
도시 | 평양 |
창단 | 1918년 |
해단 | 1933년 |
소유 | 무오체육회 |
운영 | 무오체육회 |
소유주 | 유정필 |
우승 기록 | |
우승 | 1922 |
우승 | 1921 1922 1924 |
2. 역사
창단된 해인 무오년(1918년)에서 팀 명칭을 가져왔다. 당시 관서지방의 부호였던 유정필이 구단주 겸 선수로서 창단을 주도하였으며, 교회목사 박종은과 한약재상 이필상 등이 창립에 도움을 주었다.[4] 선수들은 주로 평양에 있는 대성학교, 숭실중학, 숭실전문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타 지역의 우수선수들도 영입하여 조선 최강의 팀으로 군림하였다.
전조선축구대회에 1회부터 11회까지 출전하여 2차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평양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는 6회나 우승을 차지하였다.[4] 한편 전국대회가 활성화되기 이전부터 국내 원정을 다녔는데, 1921년 7월 말부터 8월 중순에 걸쳐 남부지방을 돌며 지역 강호였던 대구청년회(7월 29일, 대구), 전동래축구단(8월1일, 부산), 경성반도군(8월 5일, 서울) 등을 각기 격파한다.[3] 흥미로운 것은 남부지방의 명문이었던 전동래축구단도 자체 원정대를 조직하여 인근 김해, 밀양, 창원, 마산 등을 돌며 무오축구단과의 경기에 대비하였던 것[3] 인데, 이는 무오축구단이 그만큼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925년에는 서울의 조선축구단에 이어 두 번째로 해외 원정 경기를 추진하기도 한다. 그러나 목적지인 중국 심천으로 가던 도중 신의주에서 원정비를 도난 당하여 원정이 중단된다[4].
무오축구단은 서울을 기반으로 한 불교청년회와 함께 1920년대 조선 축구의 양강구도를 형성하며, 이후 경성-평양 라이벌 구도의 전초를 마련해준다. 두 팀은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첫 경기에서부터 맞붙어 무오축구단이 승리하였으며, 2회에서는 결승전에서 만나 다시 무오축구단이 승리를 거둬 첫 우승을 거둔다. 1920년대 전성기를 보낸 무오축구단은 1933년 창단된 평양 축구단에 흡수된다.
2. 1. 창단 배경 (1918년)
무오 축구단은 1918년(무오년)에 팀 명칭을 가져왔다.[4] 당시 관서 지방의 부호였던 유정필이 구단주 겸 선수로서 창단을 주도하였으며, 교회 목사 박종은과 한약재상 이필상 등이 창립에 도움을 주었다.[4] 선수들은 주로 평양에 있는 대성학교, 숭실중학, 숭실전문 출신들로 구성되었지만, 타 지역의 우수 선수들도 영입하여 조선 최강의 팀으로 군림하였다.전조선축구대회에 1회부터 11회까지 출전하여 2차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평양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는 6회나 우승을 차지하였다.[4] 한편 전국대회가 활성화되기 이전부터 국내 원정을 다녔는데, 1921년 7월 말부터 8월 중순에 걸쳐 남부 지방을 돌며 지역 강호였던 대구청년회(7월 29일, 대구), 전동래축구단(8월 1일, 부산), 경성반도군(8월 5일, 서울) 등을 각기 격파하였다.[3] 남부 지방의 명문이었던 전동래축구단도 자체 원정대를 조직하여 인근 김해, 밀양, 창원, 마산을 돌며 무오 축구단과의 경기에 대비하였는데,[3] 이는 무오 축구단이 그만큼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925년에는 서울의 조선축구단에 이어 두 번째로 해외 원정 경기를 추진하기도 하였으나, 목적지인 중국 심천으로 가던 도중 신의주에서 원정비를 도난당하여 원정이 중단되었다.[4]
2. 2. 초기 활동 및 전국적 명성 (1920년대 초)
유정필이 구단주 겸 선수로서 창단을 주도하였으며, 대성학교, 숭실중학, 숭실전문 출신 선수들과 타 지역 우수선수들을 영입하여 조선 최강의 팀으로 군림하였다.[3] 전조선축구대회에 1회부터 11회까지 출전하여 2차례 우승하였고, 평양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는 6회 우승을 차지하였다.[3] 1921년 7월 말부터 8월 중순에 걸쳐 남부지방을 돌며 대구청년회(7월 29일, 대구), 전동래축구단(8월1일, 부산), 경성반도군(8월 5일, 서울) 등을 각기 격파하였다.[3] 특히 전동래축구단은 자체 원정대를 조직하여 인근 김해, 밀양, 창원, 마산 등을 돌며 무오축구단과의 경기에 대비하였는데, 이는 무오축구단의 전국적 명성을 보여준다.[3][4]2. 3. 해외 원정 시도와 좌절 (1925년)
1925년 무오축구단은 서울의 조선축구단에 이어 두 번째로 해외 원정 경기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목적지인 중국 심천으로 가던 도중 신의주에서 원정비를 도난 당하여 원정이 중단되었다.[4]2. 4. 경성-평양 라이벌 구도 형성 (1920년대)
유정필이 구단주 겸 선수로서 창단을 주도하였으며, 교회목사 박종은과 한약재상 이필상 등이 창립에 도움을 주었다.[3] 선수들은 주로 평양에 있는 대성학교, 숭실중학, 숭실전문 출신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타 지역의 우수선수들도 영입하여 조선 최강의 팀으로 군림하였다.[3]전조선축구대회에 1회부터 11회까지 출전하여 2차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평양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는 6회나 우승을 차지하였다.[3] 1921년 7월 말부터 8월 중순에 걸쳐 남부지방을 돌며 지역 강호였던 대구청년회(7월 29일, 대구), 전동래축구단(8월1일, 부산), 경성반도군(8월 5일, 서울) 등을 각기 격파하였다.[3] 1925년에는 서울의 조선축구단에 이어 두 번째로 해외 원정 경기를 추진하기도 하였으나, 중국 심천으로 가던 도중 신의주에서 원정비를 도난 당하여 원정이 중단되었다.[4]
무오축구단은 서울을 기반으로 한 불교청년회와 함께 1920년대 조선 축구의 양강구도를 형성하며, 이후 경성-평양 라이벌 구도의 전초를 마련해주었다.[3] 두 팀은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첫 경기에서부터 맞붙어 무오축구단이 승리하였으며, 2회에서는 결승전에서 만나 다시 무오축구단이 승리를 거둬 첫 우승을 거두었다.[3] 1920년대 전성기를 보낸 무오축구단은 1933년 창단된 평양 축구단에 흡수된다.
2. 5. 평양축구단으로의 흡수 (1933년)
무오축구단은 전조선축구대회에 1회부터 11회까지 출전하여 2차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평양 관서체육회 주최 전조선축구대회에서는 6회나 우승을 차지하였다.[4] 1920년대 전성기를 보낸 무오축구단은 1933년 창단된 평양축구단에 흡수된다.3. 역대 주요 성적
- '''전조선축구대회'''
- * 우승 ● (2): (1922, 1926)
- * 준우승 ● (1): (1923)
- '''전조선축구대회 (관서체육회)'''
- * 우승 ● (6): (1921, 1922, 1924, 1925, 1926, 1927)
3. 1. 전조선축구대회
무오는 전조선축구대회에서 1922년과 1926년에 우승을, 1923년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또한 전조선축구대회 (관서체육회)에서는 1921년, 1922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에 우승하였다.3. 2. 전조선축구대회 (관서체육회)
무오 축구단은 전조선축구대회 (관서체육회)에서 1921년, 1922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에 우승하였다.4. 시즌별 성적
wikitable
시즌 | 대회 | 참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순위 |
---|---|---|---|---|---|---|---|---|---|---|---|
1921 | 전국체육대회 축구 청년부 | 11 | 2 | 2라운드 |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사회부 | 8 | 3 | 0 | 우승 | |||||||
1922 | 전국체육대회 축구 청년부 (2월) | 11 | 3 | 3 | 0 | 0 | 6 | 1 | +5 | 우승 | |
전국체육대회 축구 청년부 (11월) | 12 |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사회부 | 11 | 4 | 3 | 1 | 0 | 우승 | |||||
1924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청년부 | 6 | 3 | 0 | 우승 |
5. 수상 기록
wikitable
시즌 | 대회 | 수상 |
---|---|---|
1921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사회부 | 우승 |
1922 | 전국체육대회 축구 청년부 (2월) | 우승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사회부 | 우승 | |
1924 | 평양기독교청년회 전국전조선축구대회 청년부 | 우승 |
참조
[1]
뉴스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33)일제강점기의 지방체육⑦평양의 축구 열기를 대변한 무오축구단"
https://www.maniarep[...]
마니아타임즈
2020-06-15
[2]
뉴스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38)경평축구이야기③경성축구단과 평양축구단 창단"
https://maniareport.[...]
마니아타임즈
2020-07-07
[3]
뉴스
전동래축구단원정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21-07-23
[4]
서적
韓國蹴球百年史
라사라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